제목을 보고 뜬금없다고 생각할수도 있다. 하지만 카다피 이야기가 아니다. 내가 말하고 싶은사람은 '스티븐 잡스'이다.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고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C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리눅스 환경에서 OS를 다뤄보았고 Mac OS 가 BSD없이는 불가능한걸 아는 사람들이 도대체 왜 잡스의 사망소식을 듣고 블로그에 애도를 표하면서 데니스 리치나 존 맥카시의 죽음에는 애도를 표하지 않는가. 다른 사람들은 모르겠다. 하지만 프로그래머가 그러면 안된다. 정말로 잡스의 죽음은 애통하고 데니스 리치는 그냥 가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개발자들은 스스로를 반성해 보자. 당신들은 스스로의 자유를 포기하였다.

IT세상에서 프로그래머는 자유를 가진 존재이다. 그들은 텍스트나 복잡한 점수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스프레드시트를 여는 대신 펄이나 파이썬으로 열줄정도 되는 스크립트를 짠다. 필요한게 있으면 만들고 끼워맞춰서 쓰는게 기본 정신이다. 따라서 많은 오픈소스 프로그램들은 커스터마이징이 무한대로 가능하다. 그것이 개발자들이 좋아하는 방식이다. Compiz나 emacs는 이러한 철학을 가장 확실히 보여주는 예이다.

사실 개발자들도 편한걸 좋아한다. 복잡하고 쓸데없이 설정해야하는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누가 있겠나.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잡스의 철학은 아니다. 그것을 개발자의 방식이 아닐 뿐더러 누구의 방식도 되어서는 안된다. OS의 기본 파일탐색기에서 잘라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 커맨드키를 주로 쓰는 바람에 같은 프로그램도 다른 OS와 단축키가 달라진다. 내폰에 내가만든 앱을 올리고 싶은데 돈을주고 개발자등록을 해야한다. 이것 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제약들이 사용자들을 옭아맨다. 애플이 제공하는것만 사용하면 쉽다. 하지만 애플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것'을 하려면 무수히 많은 족쇄들이 옭아매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족쇄들을 만든사람이 바로 잡스이다. 그가 원한대로 만들어진 시스템에서는 그에 맞는 프로그램만 쓸수 있고 사용자의 모든 자유는 억압된다. 이것이 잡스가 독재자인 이유이다.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많은 작업들이 기본으로 제공되기에 편암함을 느낄고 좋아할수도 있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는 절대 그럴수도 없도 그래서도 안된다. 그것은 Computer Science의 기본 철학에 어긋난다. 내가 원하는 프로그래밍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지도 못하고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하지도 못하는 상황은 정말로 답답하게 느껴야만 정상이다.

다시한번 잘 생각해보자. 과연 자신들이 유닉스를 만들고 C언어를 처음 개발한 데니스 리치보다 감옥을 만든 스티븐 잡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는가? 정말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OS 이론이나 프로그래밍 언어론에 대해서 다시 한번 공부해보라. 프레임워크에 대해서만 공부하지 말고 Computer Science가 무엇인지 한번쯤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는것이 어떨까?
오늘 C언어의 창시자이자 UNIX시스템을 개발한 Dennis Ritchie가 사망하였다. 또한 그는 C를 좀 할줄 안다면 당연히 봤어야 할 The C Programming Language의 공저자이기도 하다. UNIX를 직접 접하지 못한 사람들이 꽤나 많을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안드로이드 폰에는 UNIX 클론으로 시작한 Linux 커널이 기본으로 달려있고 아이폰이나 맥의 경우 UNIX의 일종인 BSD UNIX커널이 기본으로 들어있다. 사실 현대적인 운영체제의 개념을 정립했다고 보는것이 더 좋을수도 있겠다.

그리고 그런 UNIX를 만들기 위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C는 요즘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처음으로 배우는 언어이자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중에 하나이다. 그 이후에 나온 C++이나 Java, C# 보다는 부족한 점도 있지만 아직도 성능을 위해서 C를 써서 개발되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운영체제는 말할것도 없고 Python의 수치계산 라이브러리인 NumPy도 성능이 중요한 부분은 C를 써서 만들고 있다. 게임도 요즘와서 C++이 많이 쓰이지 예전엔 모두다 C로 개발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메모리를 직접 접근해야 한다던지 하는 경우는 C말고 도저히 쓸만한 언어가 없다. 즉, 아직 많은 부분에서는 C보다 나은 언어가 별로 없다는 이야기. 

이뿐만 아니라 아까 언급한 Java나 C#의 경우도 기본적인 문법은 C에서 모두 빌려왔다. 결국 현대적 프로그래밍 언어의 원조격이라고 할수 있는것이 C이다. 이러니 Dennis Ritchie가 컴퓨터 역사의 발전에 기여한것이 어마어마하다고 밖에 할수 없는것이다. 시간이 갈수록 Computer Science는 발전하고 Computer Science가 발전하면서 이런 전설적인 인물도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다. 

내 생각에는 진정한 혁신은 이런 사람에게서 발견해야 하는것이 맞는것 같다. 

Dennis Ritchie를 추모하며. 
최무영교수의물리학강의
카테고리 과학 > 교양과학 > 교양물리 > 물리이야기
지은이 최무영 (책갈피, 2008년)
상세보기

엘러건트유니버스
카테고리 과학 > 교양과학 > 교양물리 > 물리이야기
지은이 브라이언 그린 (승산, 2002년)
상세보기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최무영교수의 물리학강의"책을 수식이 많다고 어렵다고 하면서 브라이언 그린의 "엘러건트 유니버스"나 "우주의 구조"가 수식이 없어서 쉬웠다고 하는 글을 보았다. 내가 최무영교수님의 책을 직접 읽은적은 없지만, 서점에서 쭉 훑어 보았을때는 수식이 많이 없어서 쉽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도대체 이 두 생각의 차이는 무엇일까?

"엘러건트 유니버스"는 사실 쉬운책이 아니다. 여러가지 개념을 탁월한 비유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특수상대성이론을 이 책에서 수식없이 설명하는것만으로 이해하려면 머리가 무척 좋거나 이미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해 일반적인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나의 생각으로는 이 책을 읽고 특수상대성이론은 이해했다는 사람 중 대다수는 겉햝기로 조금만 이해했거나 아니면 다르게 이해한것이다. 특수상대성이론만 해도 제대로 이해하려면 핵심적인 몇개의 수식과 몇몇개 이상의 문제를 풀어보아야 한다. 물론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 그 자신은 똑똑한 사람이니 자신의 설명만 듣고 다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하지만 그도 자신의 책만 읽고 사람들이 현대 물리학의 최첨단중 하나인 초끈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리라고 기대하진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브라이언 그린은 왜 수식을 아꼈을까. 답은 쉽다. 수식을 아낌으로서 많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그린 그 자신의 말 처럼 수식을 하나 쓸때마다 독자는 반으로 줄어든다. 과학 "교양서"를 쓰는 입장에서 독자를 줄이는 선택은 하지 않는것이 좋다. 똑같이 어려운 개념이지만 수식이 없음을 통해 뭔가 쉬워보이게 만드는 것이 교양서의 큰 덕목중에 하나니 말이다. 하지만 어려운 개념은 말로 풀어써도 여전히 어렵다. 사실 더 어렵게 된다. 이것이 내가 이 책이 쉽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경계하는 이유이다. 물리학 전공자인 나도 한페이지를 여러번 읽으면서 무슨 말인지 생각하고 내가 아는 개념과 대응시키면서 읽는데 쉽다니? 아마 쉽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소설책 읽듯이 정말로 쉽게 읽었을까? 그렇다면 이 책의 물리학 개념들중에 제대로 이해한것이 하나도 없음이 자명하다.

수식을 아끼는 것이 나쁜것이 아니다. 수식을 아껴도 브라이언 그린이 책을 통해 의도했던 초끈이론의 대략적인 이해와 웅장함은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 다만 "대략적"이 점점 강해질 뿐이고 "웅장함"이 꾸며질 뿐이다. 이는 브라이언 그린의 입장에서는 더 좋은 결과이다.

하지만 "최무영교수의 물리학강의"는 다른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물리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물리학을 정확하게 가르치는것이 목적이다. 즉, 정확한 개념 전달을 위해 쓴 책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에 수식을 안쓰는 것이 좋을 선택일까? 나는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전공자나 미적분에 익숙한 이공계생들을 위한 책이 아니기 때문에 수식이 하나 등장할때 마다 많은 인문, 사회과학 전공 학생이나 다른 일반인들이 힘들어진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수식은 필수적이다.

결국 "엘러건트 유니버스"같은 책의 물리개념을 이해하지 못했을 뿐더러 두 책의 목적이 다른것을 몰랐기 때문에 "엘러건트 유니버스"에 비해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가 수식이 있어서 어렵다는 말을 하는 것이다. 나는 오히려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가 좀더 좋은 교양서라고 생각한다. 물리학의 특정한 분야가 아닌 전 분야를 다루고 있고 "물리학"자체의 개념전달에 충실하기 때문이다.